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열심히 진리를 탐구하는 청소년

     

    수능특강 영어의 지문들을 독해하다 보면, 다양한 지문들이 각 분야 학자들의 출판된 논문에서 발췌되어 나오기 때문에 글의 전후 맥락이 부족한 문제점으로 학생들의 이해를 어렵게 하는 부분들이 많다. 오랜 세월 동안 수능영어 지도를 해오고 있지만 수능 지문들이 상당한 수준의 글들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 많이 어려워한다. 단순히 독해력을 키우는 것을 넘어서서 다양한 분야의 바탕지식을 요구하고 있다. 그 중 게티어 문제에 대해 소개해 보겠다.

    게티어 문제의 등장

     

    게티어 문제는 1963년 철학자 Edmund Gettier가 제기한 문제로, 전통적인 지식의 정의에 대한 반례를 제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문제는 지식의 본질에 대한 철학자들의 오랜 논쟁을 촉발시켰으며 현대인식론에서 가장 중요한 쟁점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전통적으로 지식은 정당화된 참믿음으로 (justified true blief) ,어떤 명제 P가 참이고 , 행위자가 P를 믿으며, 그 믿음이 정당화되어 있다면 행위자는 P를 안다고 간주되었다. 그러나 게티어는 이러한 정의에 반례를 제시하며 정당화된 참믿음이 지식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게티어 문제의 내용

     

    스미스는 존스가 포드차를 몰고 다니는것을 자주 봤고 존스한테 포드차가 있다고 믿는다. 그리고 스미스 친구 중에 여행을 자주 다녀서 지금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없는 브라운이라는 친구가 또 있다. 이런 상황에서 스미스는 무작위로 브라운이 있는 장소를 정해서 가설을 세웠다.

     

    "존스가 포드차를 갖고 있거나, 혹은 브라운은 지금 스페인에 있다."

    그런데 사실 존스의 차는 렌트카였다. 그리고 사실상 어쩌다 보니 브라운은 정말로 스페인에 여행중이었다. 이때 이명제는 정당화된 참믿음(justified true belief)의 조건을 다 만족시키는 것 같다. 이명제는 참이다.

    존스가 포드차를 갖고 있다는 사실은 거짓이지만 브라운이 지금 스페인에 있다는 것은 참이기 때문이다. 스미스는 이 명제를 믿는다. 스미스가 이 명제를 믿는 것이 정당화된다. 존스가 포드차가 있다고 믿는 것은 증거가 있으므로 정당화된다. " p다. 그렇다면 p 혹은 q다. " 는 타당한 추론이다. 이때 p자리에 '존스는 포드차가 있다.' q자리에 '브라운이 지금 스페인에 있다.'를 대신 집어넣으면 이명제가 도출되므로 이명제는 정당화된다.

     

    그러나 스미스가 이 명제를 알았다고 보는것은 부당해 보인다. 정당화된 참믿음(justified true belief)이 반드시 지식을 보여주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게티어 문제의 함의와 논쟁

     

    게티어 문제는 지식의 본질에 대한 철학자들의 오랜 논쟁을 촉발시켰다. 이 문제는 전통적인 지식의 정의에 대한 반례를 제시함으로써 , 지식의 개념에 대한 재검토와 새로운 정의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후 많은 철학자들은 게티어 문제에 대한 다양한 해결책을 제시했다. 대표적으로 Alvin Goldman은 믿음의 인과적 기원 (causal  origin of belief)을 강조하며, 정당화된 참믿음이 지식이 되기 위해서는 믿음의 형성과정이 믿음의 내용과 적절한 인과관계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Robert Nozick 은 믿음의 안정성(safety)과 민감성(sensitivity)을 강조하며, 지식은 믿음이 참일 뿐만 아니라 그 믿음이 안전하고 민감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편 일부 철학자들은 게티어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기보다는, 지식의 개념을 재정의하거나 지식의 본질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모색하고자 했다. 예를 들어 Richard Foley는 '지식을 합리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믿음'으로 정의하며, 정당화요건 대신 믿음의 합리성을 강조했다.

     

    게티어 문제는 지식의 본질에 대한 철학자들의 논의를 크게 촉발시켰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이 문제를 계기로 많은 철학자들이 지식의 개념, 정당화, 참과 같은 핵심 요소들을 재검토하게 되었고 이는현대 인식론연구의 핵심주제로 자리 잡게 되었다.

    반응형